소알호) 코로나19 관련 최신지견: 코로나19 감염 임신부와 신생아 | |||
작성일 | 2020-03-11 | 조회수 | 897 |
---|---|---|---|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방지와 치료에 헌신하고 계신 회원님들, 특히 대구 경북 지역 선생님들께 감사와 격려의 인사를 드립니다. 2020년 3월 11일 현재 국내 18세 미만 소아청소년 확진자는 약 4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다행히도 중증의 경과를 보이는 사례가 아직 없습니다. 임신기의 코로나 19 감염증례도 국내에 발생하여 코로나19 감염 임신부와 신생아에 대한 최신지견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건강보건을 위해 우리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회원들과 함께 노력하겠습니다. 2020.3.11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이사장 홍수종/홍보사회위원회 드림 ---------------------------------------------------------------------------------------------------------------------------------------------------------------------------------------------------------------------- 코로나19 관련 최신지견: 코로나19 감염 임신부와 신생아 코로나19 감염의 확산으로 임신부의 감염도 발생하고 있으나 그 경과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이전의 SARS, MERS 유행기에 임신부와 신생아의 증례를 기초로 임신부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현재까지의 알려진 보고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임신 중의 폐렴 임신부의 폐렴은 원인과 무관하게 위험하고 치명적이며 산과 감염을 제외하고 가장 흔한 감염이다. 폐렴을 앓는 임신부의 25%는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인공호흡기에 의존한다. 항생제에 반응하는 경우라도 세균성 폐렴은 위중하고 바이러스성 폐렴도 역시 사망률이 높다. 다른 감염성 질환들과 마찬가지로 세포 면역과 폐기능의 변화와 같은 정상적인 임신 중의 생리적 변화들이 폐렴에 대한 감수성과 임상적 중증도에 영향을 미친다. 폐렴 임신부의 흔한 합병증은 조기 양막 파열, 조기진통, 사산, 태내 성장저하, 신생아 사망 등이다. 2. SARS와 임신 홍콩에서의 SARS 감염 임신부의 임상 경과는 일반인에 비하여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Wong 등은 2003.1.1.-7.31 기간에 홍콩에서 SARS에 감염된 임신부의 코호트 연구 결과 57%에서 임신 초기 유산이 나타났고 이는 SARS와 연관된 급성 호흡부전에 의한 저산소증의 결과로 생각된다. 24주 이후에 감염된 5명 중 4명(80%)이 조산을 하였다. 10명의 임신부와 4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한 환자-대조군 연구에서 SARS 감염 임신부 중 3명이 사망하였으며 신부전과 파종성 혈관내 응고도 감염 임신부에서 흔하게 나타났다. 7명의 SARS 감염 임신부를 관찰한 연구에서는 2명(28%)이 사망하고 4명(58%)은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하였다. 이에 반해 비임신부의 사망률은 10% 미만이며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20% 미만이었다. SARS 감염에서 회복된 2명은 임신이 유지되었으나 태내발육 저하 신생아를 출산하였다. 생존한 신생아에서 임상적으로 또는 진단검사에서 SARS 감염은 없었다. 출산한 산모들은 바이러스의 전파를 우려하여 모유수유를 하지 않도록 권장하였다. 중국에서 SARS 유행이 가장 극심했던 광저우에서 5명의 초산모의 SARS 감염을 보고하였다. 한명의 임신부는 집중치료가 필요했지만 모두 생존하였으며 5명의 신생아는 SARS 감염이 없었다. 미국에서도 2명의 임신부의 SARS 감염이 보고되었다. 2003년 SARS 유행기에 홍콩을 방문한 36세의 임신부가 귀국 후 임신 19주에 폐렴으로 입원하였다. 초음파에서 전치태반 소견을 보였으나 다른 특이 소견은 없었으며 임상적으로 호전되어 퇴원 후 38주에 제왕절개로 건강한 신생아를 출산하였다. 발병 130일 후 산모의 혈청, 전혈, 인후와 직장 도말, 태반, 제대혈, 모유를 분석한 결과 바이러스 RNA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산모의 혈청, 제대혈, 모유에서 SARS 항체가 검출되었다. 또 다른 임신부 역시 홍콩 여행 후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 치료 후 호전되었으나, 임신 36주에 조기 양막파열로 인해 제왕절개방법으로 건강한 신생아를 출산하였다. 출산 시 산모 혈청은 SARS 항체 양성이었으나 태반과 제대혈은 음성이었다. 출산 후 12일, 30일의 모유에서도 SARS 항체는 검출되지 않았다. 산모의 혈액, 대변, 인후검체, 신생아의 제대혈에서 SARS RNA는 검출되지 않았다. 생후 12일, 30일 신생아 대변에서도 SARS RNA는 검출되지 않았다. 캐나다에서 감염된 임신 31주 임신부는 폐렴으로 입원치료 후 회복기에 SARS 항체를 확인하였으며 정상 분만과 출산 후 신생아에서 감염은 없었다. 홍콩의 5명의 감염 산모로부터 출산한 신생아들은 수차례의 RT-PCR, 바이러스 배양, 반복된 혈청 검사 등에서 모두 음성이었으며 호흡기 증상과 증후가 없었다. 다행스럽게도 2002-2003년 SARS 유행 당시 감염된 임신부로부터의 수직 감염의 예는 없었다. 3. MERS와 임신 임신 중 MERS감염은 11명의 증례가 있으며 이 중 91%에서 임상적 이상소견을 보였다. 5명의 MERS 감염 임신부를 보고한 연구에 의하면 모두 집중치료를 받았고 2명은 사망하였으며, 1명은 사산, 1명은 출산 후 사망하였다. 이러한 위중한 경과는 다른 임신부의 MERS 감염 보고와 유사하다. 이들 중 2명은 의료기관 종사자로 바이러스 노출 고위험군이었다. 또 다른 증례는 입원 중 호흡곤란으로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했던 임신부로 덱사메타손을 투여하고 32주에 응급 제왕절개로 출산 및 집중치료 후 회복되었다. 요르단에서는 임신 5개월의 임신부가 발열, 피로감, 두통, 기침, 질 출혈과 복통을 호소하고 7일째 태아가 사망하였다. 산모에서 MERS 항체가 검출되었으며 나중에 확진자로 알려진 가족 접촉력을 확인하였다. 아랍에미리트 연합국에서는 지역사회 폐렴으로 입원하여 호흡부전과 저혈압으로 진행된 ARDS 임신부가 제왕절개술로 건강한 아기를 출산한 후 시행한 RT-PCR에서 MERS 감염을 확인하였다. 산모는 집중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하였다. 한국에서도 MERS 확진자와 접촉력이 있는 39세의 임신부가 질 출혈과 양막파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회복한 후 37주에 건강한 신생아를 출산하였으며 신생아의 혈액에서 MERS항체는 검출되지 않았다. 11명의 MERS 감염 임신부의 사망률은 27%(MERS의 일반 사망률 35%)였으며 한 증례에서만 산모와 신생아 모두 사망하였다. 임신 중 SARS 감염과 유사하게 MERS 임신부 감염에 대한 정보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앞으로 양수, 태반, 제대혈과 같은 검체의 확보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 코로나19와 임신 우한에서 출생 후 30시간된 신생아에서 코로나19 감염 확진이 보고되었다. 이는 산모와 신생아 관계가 코로나19 전파 가능한 경로임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신생아의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은 태내 수직감염 외에도 분만시 산도를 통한 감염, 드물지만 모유를 통한 감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지만, 주위 감염자의 기침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통하여 주로 일어난다. SARS와 MERS 유행 경험을 토대로 본다면 모체로부터 태아로의 수직감염의 확인 증례는 없으나 SARS와 MERS에 감염된 임신부는 치명적인 임상 경과를 보였다. 이로 미루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은 태내발육저하, 조산, 집중치료, 유산과 주산기 사망 등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임신부는 코로나19 유행기에 중증 감염의 고위험군으로 주의 관찰이 요구된다. 5. 신생아의 코로나19 치료법 신생아나 소아의 코로나19 감염은 그 가족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급성 호흡기나 발열 증상이 있는 경우, 가족의 감염력, 가족과 환아의 여행력, 접촉력을 철저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모의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되거나 의심되는 경우, 신생아를 진료하는 소아청소년과 의사는 개인 보호구 (전신 보호복) 를 착용하고 분만실에 들어가야 하고, 신생아 심폐소생술을 하게 될 경우는 보호구 착용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출생한 신생아에서 코로나19 검사를 신속히 시행하고 양성인 경우 격리가 필요하다. 소아와 신생아에서 코로나19 감염은 성인에 비하여 적고, 중증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나 신생아에서 코로나19 감염은 성인의 치료와, 신생아 ARDS 치료에 준해서 시행한다. 다행히, 소아나 신생아에서 기저질환이 없다면 코로나19 감염은 비교적 경한 경과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 출처 1. Schwartz DA, Graham AL. Potential Maternal and Infant Outcomes from (Wuhan) Coronavirus 2019-nCoV Infecting Pregnant Women: Lessons from SARS, MERS, and Other Human Coronavirus Infections. Viruses. 2020 Feb 10;12(2). pii: E194. doi: 10.3390/v12020194 2. Qi Lu, Yuan Shi. Coronavirus disease(COVID-19) and neonate: what neonatoloist need to know. J Med Virol. 2020 Mar 1. doi: 10.1002/jmv.257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