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알호) 코로나19 최신지견: Neonatal Early-Onset Infection With SARS-CoV-2 in 33 Neonates Born to Mothers With COVID-19 in Wuhan, China | |||
작성일 | 2020-04-01 | 조회수 | 813 |
---|---|---|---|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전세계가 막대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미루어진 학교의 개학이 일부 혹은 온라인으로 계획되어 소아청소년 감염 관리에 대한 철저한 계획과 대비가 요구됩니다. 코로나19 감염이 장기화되면서 다양한 임상증례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소아청소년 감염자의 경과가 비교적 경한 것으로 보이나 일부 10대 사망자에 대한 외국 사례도 있고 신생아 감염에 대한 주의가 여전히 필요할 것입니다. 중국 우한에서 33명의 코로나19 감염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자료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저희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는 코로나19와 관련한 최신자료들을 공유하여 여러 선생님들의 진료와 일상에 힘을 더하고자 합니다. 우리 학회는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회원들과 함께 노력하겠습니다. 2020.4.1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이사장 홍수종/홍보사회위원회 드림 코로나19 최신지견: Neonatal Early-Onset Infection With SARS-CoV-2 in 33 Neonates Born to Mothers With COVID-19 in Wuhan, China 코로나19에 감염된 산모로부터 태어난 신생아들의 자료가 보고되었다. 2020년 1월부터 2월까지 중국 우한 어린이병원에서 코로나19 감염이 있는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 33명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로서 이들의 감염 여부 및 임상 특징을 요약하였다. 비인두와 항문도말검체로 코로나19검사를 시행하였고, 33명 중 3명(9%)이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숨찬 증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전체 33명 중 4명에서 나타났고 사망자는 없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3명의 신생아에 대한 상세한 과정은 그림으로 정리하였다. 양수내 태변착색과 산모의 코로나19 폐렴 때문에 제왕절개분만으로 태어난 환자 1은 생후 2일에 기면과 열이 있어 신생아 집중치료실로 옮겨졌고 흉부방사선검사에서 폐렴이 확인되었다. 신체검진이나 다른 검사에서는 이상 소견이 없었다. 코로나19는 생후 2일과 4일에 양성, 생후 6일에 음성이었다. 환자 2는 열과 기면, 구토가 있었고 검사상 백혈구 증가, 림프구 감소, 심장형 크레아틴키나제의 증가 소견을 보였다. 흉부방사선 검사는 폐렴이었고, 코로나19 검사는 생후 2일과 4일에 양성, 6일에 음성이었다. 태아절박가사와 산모의 코로나19 폐렴으로 임신 31주 2일에 제왕절개분만으로 태어난 환자 3은 아프가 점수 1분에 3, 5분에 4점으로 소생법이 필요했다.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과 폐렴은 항생제와 비침습적 환기로 치료하여 생후 14일에 호전되었다. 패혈증도 의심되었으나 항생제 사용으로 호전되었다. 코로나19는 생후 2, 4일에 양성, 7일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의 위험에 있던 신생아 33명의 증상은 경미하였고 예후도 좋았다. 증상이 있던 3명의 신생아 중 가장 심각한 증상이 있던 환자는 코로나19의 감염이라기보다는 조산, 질식에 의한 가사와 패혈증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철저한 감염예방에 따른 분만과정이 시행되었기 때문에 이 3명의 비인두와 항문에서 채취한 검체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은 산모에게서 온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최근 두 편의 연구에서는 감염된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에서 코로나19의 증상이 없고 검체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이 코호트의 결과에서는 산모-태아간 수직감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임산부를 선별하고 철저한 감염관리를 시행하는 한편, 감염된 산모를 격리하고 감염 위험에 있는 신생아들을 집중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Zeng L. Neonatal Early-Onset Infection With SARS-CoV-2 in 33 Neonates Born to Mothers With COVID-19 in Wuhan, China. JAMA Pediatrics. Published online March 26.2020 ![]() ![]() |